타이어 공기압은 자동차 안전과 직결되는 핵심 요소입니다.

계절별 온도 변화에 따라 적정 공기압을 유지하는 것은

제동력, 연비, 타이어 수명, 주행 안정성에 큰 영향을 줍니다.

 

특히 여름철과 겨울철은 온도 차이가 커서 타이어 공기압 조정 방법이 다릅니다.

이 글에서는 두 계절의 적정 공기압과 경고등 점등 시점, 해제 조건을 표로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여름·겨울철 타이어 공기압의 중요성

타이어 내부 공기는 온도 변화에 민감합니다.

기온이 10℃ 변할 때마다 약 1 PSI의 압력 변화가 발생합니다.

여름에는 도로 표면과 주행열로 공기압이 상승하고,

겨울에는 낮은 기온으로 압력이 떨어집니다.

이러한 변화는 주행 안정성과 연비, 타이어 수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계절별 조정이 필요합니다.

 

 

 

계절별 적정 공기압 표

 

계절 승용차/SUV 경차·소형차 대형 SUV·대형차 조정 방법
여름철 35~37 PSI 28~32 PSI 38~40 PSI 권장치 유지 또는 +1~2 PSI
겨울철 권장치 +1~2 PSI 30~34 PSI 39~41 PSI 여름보다 높게 설정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 점등·해제 조건

구분 점등 시점 해제 조건
공통 27~30 PSI 이하 35 PSI 이상 주입, 일부 차량은 38~40 PSI 필요

 

 

 

여름철 타이어 공기압 관리 팁

  • 여름철 도로 표면 온도는 60℃ 이상 → 공기압 자연 상승
  • 권장치 유지 또는 +1~2 PSI가 안전
  • 장마철 빗길 주행 시 낮은 공기압은 수막현상 위험 증가

 

겨울철 타이어 공기압 관리 팁

  • 기온 하락 시 평균 2~3 PSI 감소
  • 권장치보다 1~2 PSI 높여야 안전
  • 스노우 타이어 사용 시에도 동일 적용

 

타이어 공기압 관리 시 자주 하는 실수

  1. 주행 직후 측정 (실제보다 높게 나옴)
  2. 네 바퀴 공기압 불균형
  3. 계절 전환 시 미점검
  4. 오차 큰 게이지 사용

 

정기 점검 주기와 관리 요령

  • 월 1회 이상 점검 (장거리 주행 전 필수)
  • 여름철: 권장치 또는 +1~2 PSI
  • 겨울철: 권장치 +1~2 PSI
  • 경고등 점등 시: 35 PSI 이상, 일부 차량은 38~40 PSI 필요

타이어 공기압 관리는 사계절 안전운전의 기본입니다.

계절별로 미리 미리 올바른 관리를 한다면 연비와 타이어 수명을 지킬 수 있습니다.